<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유다에 임한 가뭄
1절
"가뭄에 대하여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 해설:
- *"가뭄"은 히브리어 **בַּצֹּרֹת (batzorot)*로, 유다에 닥친 극심한 자연재해를 의미한다.
- 하나님의 심판으로 인한 재앙을 암시하며, 유다의 영적 가뭄과 연결된다.
2절
"유다가 슬퍼하며, 그 성문들이 피곤하여 땅에 앉았으며, 예루살렘의 부르짖음이 올라갔도다."
👉 해설:
- "피곤하여 땅에 앉았다"는 표현은 극심한 절망과 무력감을 나타낸다.
- 예루살렘 백성들이 가뭄으로 인해 하나님께 부르짖지만, 응답받지 못하고 있다.
3절
"귀인들이 자기 종들을 물 찾으러 보냈으나, 그들이 우물에 가서 물을 찾지 못하여 빈 그릇을 가지고 돌아오매, 부끄러워하고 근심하여 그들의 머리를 가리웠도다."
👉 해설:
- 귀족들조차 물을 찾지 못할 정도로 가뭄이 심각했음을 나타낸다.
- "머리를 가렸다"는 것은 히브리 문화에서 슬픔과 수치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4절
"땅이 갈라졌으니, 이는 비가 땅에 내리지 아니함이라. 농부들이 부끄러워하여 그들의 머리를 가리는도다."
👉 해설:
- "땅이 갈라졌다"는 표현은 심각한 기근과 재앙을 상징한다.
5절
"들에 있는 암사슴은 새끼를 낳아도 풀이 없으므로 버리며"
6절
"들나귀들은 벗은 산 위에 서서 이리같이 헐떡이며, 풀이 없으므로 눈이 어두워졌도다."
👉 해설:
- 가뭄으로 인해 동물들조차 생존이 어려운 상태임을 묘사하고 있다.
2. 예레미야의 중보 기도
7절
"여호와여, 우리의 죄악이 우리에게 대하여 증언할지라도, 주의 이름을 위하여 행하소서. 우리의 타락함이 많으니, 우리가 주께 범죄하였나이다."
👉 해설:
- 예레미야는 유다의 죄를 인정하며 하나님의 자비를 간구한다.
- "주의 이름을 위하여 행하소서"는 하나님의 명예와 신실함에 근거하여 용서를 구하는 기도이다.
8절
"이스라엘의 소망이시요, 고난의 때의 구원자시여, 어찌하여 이 땅에서 객같이, 하룻밤을 유숙하는 나그네같이 행하시나이까?"
👉 해설:
- 하나님께서 유다를 떠나신 것처럼 보이는 상황에 대한 탄식이다.
9절
"어찌하여 놀란 사람 같으시며, 구원하지 못하는 용사 같으시니이까? 여호와여, 주는 우리 가운데 계시오니, 우리는 주의 이름으로 일컬음을 받는 자이오니, 우리를 버리지 마옵소서."
👉 해설:
-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임재를 강조하며, 유다를 완전히 버리지 말아 달라고 간청하고 있다.
3. 하나님의 거절과 유다의 심판
10절
"여호와께서 이 백성에게 이같이 말씀하시되, 그들이 이처럼 방황하기를 좋아하며, 그들의 발을 멈추지 아니하므로, 여호와께서 그들을 받지 아니하고, 이제 그들의 죄를 기억하시며, 그들의 죄를 벌하시리라 하셨느니라."
👉 해설:
- 유다가 하나님을 버리고 우상을 따르기를 좋아했기 때문에 심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1절
"여호와께서 또 내게 이르시되, 너는 이 백성을 위하여 복을 구하지 말라."
👉 해설:
-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의 중보 기도를 더 이상 듣지 않겠다고 선언하신다.
12절
"그들이 금식할지라도 내가 그 부르짖음을 듣지 아니하겠고, 번제와 소제를 드릴지라도 내가 그것을 받지 아니하고, 칼과 기근과 전염병으로 내가 그들을 멸하리라."
👉 해설:
- "금식"(צוֹם, tzom)은 회개를 의미하지만, 하나님께서는 형식적인 금식을 받지 않으신다.
- "번제와 소제"(עוֹלָה וּמִנְחָה, olah u’minchah)도 마찬가지로 무의미한 예배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 하나님께서 선언하신 심판은 "칼"(전쟁), "기근", "전염병"을 통해 완전한 멸망으로 이어진다.
13절
"내가 말하되, 슬프도소이다, 주 여호와여! 보시옵소서, 선지자들이 그들에게 이르기를 '너희가 칼을 보지 아니하겠고, 기근이 너희에게 이르지 아니할 것이라. 내가 너희에게 확실한 평강을 주리라' 하나이다."
👉 해설:
- 거짓 선지자들이 백성들에게 "평강"(שָׁלוֹם, shalom)을 약속하며 잘못된 예언을 하고 있다.
- 예레미야는 이 거짓된 메시지가 유다를 더욱 파멸로 이끌고 있다고 탄식하고 있다.
14절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선지자들이 내 이름으로 거짓을 예언하도다. 나는 그들을 보내지 아니하였고, 그들에게 명령하거나 말하지 아니하였거늘, 그들이 거짓된 묵시와 복술과 헛된 것과 자기 마음의 거짓으로 너희에게 예언하는도다."
👉 해설:
- "거짓된 묵시"(שֶׁקֶר חָזוֹן, sheker chazon)은 하나님께서 주시지 않은 환상을 뜻한다.
- "복술"(קֶסֶם, kesem)은 점술과 마술을 의미하며, 참된 예언과 대비된다.
- 거짓 선지자들은 자신들의 욕망과 정치적 이유로 백성을 속이고 있다.
15절
"그러므로 여호와께서 말씀하시되, 내가 보내지 아니하였는데도 내 이름으로 예언하며, '칼과 기근이 이 땅에 이르지 아니하리라' 하는 선지자들은 칼과 기근에 멸망할 것이요."
👉 해설:
- 거짓 선지자들은 자신들이 부정했던 칼과 기근으로 죽게 될 것이다.
- 이는 하나님의 공의로운 심판이 거짓 예언자들에게 그대로 적용됨을 보여준다.
16절
"그들에게 예언을 받은 백성은 기근과 칼로 말미암아 예루살렘 거리에 던짐을 당할 것이라. 그들을 장사할 자가 없을 것이요, 그들의 아내와 아들딸도 그러하리니, 이는 내가 그들의 악을 그들에게 부음이라 하셨느니라."
👉 해설:
- 거짓 선지자들을 따랐던 백성들도 동일한 심판을 받게 된다.
- "장사할 자가 없다"는 것은 전쟁과 기근으로 인해 대량 학살이 일어날 것을 의미한다.
4. 예레미야의 탄식
17절
"너는 이 말로 그들에게 이르라. 내 눈이 밤낮으로 눈물을 흘리리니, 이는 여호와의 양 떼가 크게 파멸됨이라."
👉 해설:
- 예레미야는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알고, 깊은 슬픔에 빠진다.
- "양 떼"(צֹאן, tzon)는 하나님의 백성을 가리키며, 그들이 멸망하는 모습을 애곡하고 있다.
18절
"내가 들에 나가 보면 칼에 죽은 자요, 내가 성읍에 들어가 보면 기근으로 병든 자며, 선지자나 제사장이나 알지 못하는 땅으로 끌려갔도다."
👉 해설:
- "들"과 "성읍" 모두에서 죽음과 절망이 가득할 것을 의미한다.
- "선지자나 제사장도 끌려갔다"는 것은 종교 지도자들조차 심판을 피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5. 예레미야의 마지막 기도
19절
"주께서 유다를 아주 버리셨나이까? 주의 마음이 시온을 몹시 싫어하시나이까? 어찌하여 우리를 치시고 치료하지 아니하시나이까? 우리가 평강을 바랐으나 좋은 것이 없고, 고침을 바랐으나 두려움만 보나이다."
👉 해설:
- 예레미야는 하나님께 유다를 완전히 버리신 것인지 질문한다.
- "치료"(רָפָא, rapha), 즉 회복을 기대했지만, 오히려 두려움과 심판만이 남았다.
20절
"여호와여, 우리가 우리의 악과 우리 조상의 죄악을 인정하나이다. 우리가 주께 범죄하였나이다."
👉 해설:
- 유다는 자신의 죄를 인정하지만, 심판이 이미 확정된 상태이다.
- "인정하다"(הִתְוַדָּה, hitvada)는 회개를 의미하지만, 너무 늦었다.
21절
"주의 이름을 인하여 우리를 미워하지 마옵소서. 주의 영광의 보좌를 욕되게 하지 마옵소서. 우리와 세우신 언약을 기억하시고 폐하지 마옵소서."
👉 해설:
-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명예를 근거로 용서를 구하고 있다.
- "주의 영광의 보좌"는 예루살렘 성전과 하나님의 임재를 의미한다.
- "언약"(בְּרִית, berit)을 근거로 하나님께 자비를 구하는 기도이다.
22절
"이방인의 우상들 가운데 비를 내릴 자가 있나이까? 하늘이 스스로 소나기를 내릴 수 있나이까? 우리 하나님 여호와여, 그러하거늘, 우리는 주를 바라보오니, 주께서 이 모든 것을 만드셨음이니이다."
👉 해설:
- 비를 내릴 수 있는 존재는 오직 하나님뿐이며, 우상들은 무능하다.
- 예레미야는 유다가 하나님께 의지할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고 있다.
📖 오늘의 묵상
🙏 거짓된 신앙과 형식적인 회개는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 오직 진실한 회개와 순종만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