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엘리후의 시작 – 나는 너와 같은 인간이다
1절
“그러므로 욥이여, 내 말에 귀를 기울이고, 내가 말하는 모든 것에 주목하십시오.”
👉 해설:
- 엘리후는 직접적으로 욥을 부르며 주목을 요청합니다. 그는 진심으로 욥을 바로잡고자 합니다.
2절
“이제 내가 입을 열고 말하며, 내 혀가 입에서 말을 준비합니다.”
👉 해설:
- 그가 말하려는 내용은 충동적이거나 감정적인 것이 아니라, 신중히 준비된 것입니다.
3절
“내 말은 정직한 마음에서 나오고, 내 입술은 진실된 것을 말합니다.”
👉 해설:
- 엘리후는 자신의 말이 하나님의 진리에 근거한 것임을 강조합니다. 그는 단순히 욥을 꾸짖기 위함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기 위해 말한다고 선언합니다.
2.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자로서 말함
4절
“하나님의 영이 나를 지으셨고, 전능자의 숨결이 나에게 생명을 주셨습니다.”
👉 해설:
- 창세기의 창조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이 표현은, 엘리후가 하나님의 생기(히. נִשְׁמַת־שַׁדַּי, nishmat-shaddai)로 인해 생명을 얻은 존재임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5절
“당신이 대답할 수 있다면 말씀하십시오. 내 앞에 서서 말해보십시오.”
👉 해설:
- 그는 논쟁이 아닌 대화와 변론을 원합니다. 상호 존중의 태도입니다.
6절
“보십시오, 나도 하나님 앞에서 당신과 같은 사람이며, 나도 흙으로 빚어진 존재입니다.”
👉 해설:
- 자신이 욥과 똑같은 연약한 인간임을 강조함으로써, 권위적이지 않고 평등하게 대하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7절
“내 말이 당신을 두렵게 하지 않을 것이며, 나도 당신을 억압하지 않을 것입니다.”
👉 해설:
- 엘리후는 위협적인 논쟁자나 독단적인 권위자가 아닌, 진심 어린 중보자로서의 태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3. 욥의 주장을 요약하고 반박 시작
8절
“당신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는 깨끗하고, 죄가 없고, 흠도 없다.’”
👉 해설:
- 욥의 주장 중 핵심을 뽑아냅니다. 욥은 의로우며 고난을 받을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9절
“‘그러나 하나님께서 나를 비난하시며, 나를 자기 원수처럼 여기신다.’”
👉 해설:
- 욥은 하나님의 침묵과 고난의 이유 없음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었습니다.
10절
“‘그분은 내 발에 족쇄를 채우시고, 내가 가는 길을 지켜보신다.’”
👉 해설:
- 욥은 하나님이 자신을 감시하며 억압하고 있다고 느꼈습니다.
11절
“하지만 내가 말하건대, 당신은 옳지 않습니다. 하나님은 사람보다 크신 분입니다.”
👉 해설:
- 엘리후는 욥의 논리가 하나님의 주권과 위엄을 무시하는 오류에 빠졌다고 지적합니다.
4. 하나님은 말씀하신다 – 우리가 듣지 못할 뿐이다
12절
“왜 당신은 하나님께 따지려고 하십니까? 하나님은 아무에게도 설명하실 의무가 없습니다.”
👉 해설:
- 하나님의 주권적 의사 결정은 인간의 이해 범위를 초월합니다.
13절
“하나님은 한 번 말씀하시고, 또 다시 말씀하시지만, 사람이 알아차리지 못합니다.”
👉 해설:
- 하나님은 다양한 방법으로 말씀하시지만, 사람은 영적으로 무감각해질 수 있습니다.
14-15절
“하나님은 꿈이나 밤의 환상으로, 깊이 잠든 사람의 귀를 열어 말씀하십니다.”
👉 해설:
- 비일상적인 방식을 통해서도 하나님의 뜻은 전달됩니다. 사람은 이를 인지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합니다.
16-18절
“그렇게 하심은 사람을 교만에서 돌이켜 죽음에서 건지기 위함입니다.”
👉 해설:
- 하나님은 회개의 기회를 주시기 위해 말씀하시며, 고난은 돌이킴의 수단입니다.
5. 고통은 심판이 아니라 돌이키려는 부르심이다
19-22절
“사람은 병상에서 고통받고, 그의 육체는 마르고 생명은 무덤에 가까워집니다.”
👉 해설:
- 엘리후는 욥의 고통이 하나님의 심판이 아니라 경고와 자비의 수단일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6. 중보자가 있다면, 사람은 다시 살아날 수 있다
23-24절
“만일 중보자가 있다면, 하나님은 긍휼을 베푸시며 '내가 속전을 받았다' 하십니다.”
👉 해설:
- ‘중보자(히. מַלְאָךְ מֵלִיץ mal’akh melits)’는 중재자 혹은 해석자를 뜻합니다. 이는 구약에서는 천사를 의미하지만, 신학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모형으로 해석됩니다.
25-28절
“그의 육체는 회복되고, 하나님께 기도하게 되며, 그의 생명이 빛 가운데 살아납니다.”
👉 해설:
- 하나님은 중보를 통해 회복의 은혜를 주십니다. 회개, 긍휼, 용서, 회복이 연결되는 은혜의 사슬이 여기서 드러납니다.
7. 하나님은 끊임없이 말씀하시고 건지신다
29-30절
“하나님은 두 번, 세 번 사람에게 말씀하십니다. 그의 영혼을 살리기 위해서입니다.”
👉 해설:
- 하나님의 끈질긴 사랑이 반복적 경고와 고난의 방식으로 드러납니다. 우리를 죽음에서 빛으로 이끄시기 위한 초청입니다.
8. 마지막 권면 – 욥이여, 들어보라
31-33절
“욥이여, 나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대답하십시오. 만일 없으면, 조용히 듣고 내가 지혜를 가르치겠습니다.”
👉 해설:
- 엘리후는 교만한 권위가 아니라, 겸손한 충고자로서 말합니다. 그는 욥의 회복을 바라며 지혜의 말로 이끌고자 합니다.
📖 오늘의 묵상
🙏 하나님은 고난을 통해 우리에게 말씀하시며, 중보자를 통해 회복의 길을 열어주십니다. 오늘 우리가 겪는 고통이 단순한 형벌이 아니라,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신호일 수 있음을 기억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