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욥의 반박 – 제 말 좀 끝까지 들어보세요
1절
“그때 욥이 대답하였다.”
2절
“내 말을 잘 들어주십시오. 그게 최소한의 위로가 될 것입니다.”
3절
“나에게 말할 기회를 주세요. 그런 다음에 조롱해도 늦지 않습니다.”
👉 해설:
- 욥은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 자신의 말에 귀를 기울여 줄 것을 간청합니다.
2. 악인도 평안하게 잘 사는 현실
4절
“내가 불평하는 대상은 사람이 아닙니다. 왜 내가 참지 못하겠습니까?”
5절
“나를 보고 놀라지 않습니까? 나도 내 몸이 떨릴 지경입니다.”
6절
“이런 생각을 하면 몸이 떨리고, 두려움이 나를 휘감습니다.”
7절
“그런데 어째서 악인들은 계속 살아남고, 장수하며, 힘도 강한 채로 남아 있습니까?”
👉 해설:
- 욥은 악인이 고통받는다는 친구들의 주장과는 달리,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반박합니다.
8절
“그들의 자식들은 그들과 함께 있으며, 그 후손들도 눈앞에서 잘 자랍니다.”
9절
“그들의 집은 평안하고, 두려움이 없으며, 하나님의 매도 그들을 치지 않습니다.”
10절
“그들의 소는 새끼를 낳아도 낙태하지 않고, 암소도 잘 낳고 새끼를 기릅니다.”
11절
“그들의 아이들은 양 떼처럼 뛰놀고, 아이들은 춤을 추며 즐겁게 놉니다.”
12절
“그들은 북과 수금을 연주하며, 피리 소리에 맞춰 인생을 즐깁니다.”
13절
“그들은 평안히 살다가 갑자기 무덤으로 내려갑니다.”
👉 해설:
- 욥은 악인도 오히려 복을 받고 평안하게 인생을 마친다는 현실을 지적합니다.
3. 하나님을 무시하는 자들이 잘되기도 한다
14절
“그들은 하나님께 ‘우리를 떠나세요. 우리는 당신의 길을 알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말합니다.”
15절
“‘전능하신 분이 누구시기에 우리가 섬겨야 하죠? 그분을 찾는다고 무슨 유익이 있죠?’”
👉 해설:
- 이들은 하나님을 조롱하고도 잘 먹고 잘 삽니다. 욥은 이 모순을 설명해달라고 요구합니다.
16절
“그러나 그들의 번영은 그들 손에서 나온 것이 아닙니다. 나는 악인의 길을 따르고 싶지 않습니다.”
👉 해설:
- 욥은 부러워하지는 않지만, 악인이 잘 사는 현실은 인정합니다.
4. 악인의 자손이 벌을 받을까?
17절
“악인의 등불이 꺼지는 경우가 얼마나 자주 있습니까? 재앙이 그들에게 얼마나 자주 닥칩니까?”
18절
“그들이 바람에 날리는 겨처럼, 폭풍에 휩쓸리는 겨처럼 사라진다고요?”
19절
“‘하나님이 그의 자손에게 죄값을 돌린다’고들 말합니다. 하지만 당사자가 벌을 받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20절
“자기가 당한 벌을 자기 눈으로 보고, 전능자의 진노를 마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21절
“그가 죽고 난 후에는 자기 집안이 어찌 되든 무슨 상관이겠습니까?”
👉 해설:
- 욥은 죽은 뒤에 자손이 벌받는 것보다, 당사자가 직접 공의의 심판을 받는 게 더 옳지 않냐고 따집니다.
5. 모두가 죽는다 – 의인도, 악인도
22절
“하나님께서 지식을 가르치시는데, 누가 감히 그분께 무엇이라 하겠습니까?”
23절
“어떤 사람은 평안하고 풍요롭게 살다가 죽고,”
24절
“그의 몸은 건강하고, 뼈는 기름지고,”
25절
“또 어떤 사람은 고통 가운데, 단 한 번도 좋은 걸 누려보지 못하고 죽습니다.”
26절
“그들은 다 같이 흙 속에 누우며, 벌레가 그들을 덮습니다.”
👉 해설:
- 욥은 모든 인간은 결국 같은 무덤에 간다고 말하며, 현실의 공평하지 않음을 강조합니다.
6. 너희 말은 거짓 위로일 뿐이다
27절
“너희가 속으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나를 해치려는 꾀를 내가 다 안다.”
28절
“‘귀족의 집이 어디 있느냐? 악인의 장막이 어디 있느냐?’ 하겠지만,”
29절
“여행자들에게 물어보아라. 그들이 본 것을 너희에게 말해 줄 것이다.”
30절
“악인은 재앙의 날에 살아남고, 심판의 날에 피신하기까지 한다.”
31절
“누가 감히 그를 대면해 그의 길을 고발하겠으며, 누가 그의 행동에 대해 보응하겠는가?”
32절
“그가 무덤으로 운반될 때, 사람들이 그 뒤를 따라간다. 그의 무덤은 화려하게 꾸며진다.”
33절
“그 무덤의 흙은 그에게 달콤할 것이며,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뒤를 따르며, 그 앞에도 많은 사람이 있었다.”
34절
“그런데도 너희는 나를 헛된 말로 위로하려느냐? 너희 대답 속엔 진실이 하나도 없다.”
👉 해설:
- 욥은 친구들이 말하는 '악인은 망하고 의인은 복을 받는다'는 이론이 현실에 맞지 않으며, 그런 말로는 위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 오늘의 묵상
🙏 욥은 현실의 부조리를 직시하며, 하나님의 섭리는 우리가 단순히 이분법으로 나눌 수 없음을 깨닫게 합니다. 고통받는 이의 이야기를 끝까지 듣고, 함께하는 신앙이 진짜 위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