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감옥에서 임한 하나님의 말씀
1절
"예레미야가 아직 시위대 뜰에 갇혀 있을 때에 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두 번째로 임하니라."
👉 해설:
- 예레미야는 시위대 뜰에 감금된 상태에서도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
- ‘두 번째로 임하니라’는 표현은 하나님께서 예레미야에게 다시 확증의 메시지를 주심을 의미한다.
2절
"일을 행하는 여호와, 그것을 만들며 성취하는 여호와, 그의 이름을 여호와라 하는 이가 이같이 이르시도다."
👉 해설:
- 하나님은 창조하시고 역사 가운데 그의 뜻을 이루시는 분이심을 강조한다.
- ‘여호와(יהוה, Yahweh)’는 하나님의 언약적 이름이며, 그의 신실하심을 나타낸다.
3절
"너는 내게 기도하고 간구하라. 내가 네게 응답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은밀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
👉 해설:
- 하나님께 간구하는 자에게 응답하시며,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놀라운 계획을 밝히실 것을 약속하신다.
- ‘크고 은밀한 일’(히브리어: בְּצוּרוֹת, betzurót)은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깊은 하나님의 뜻을 의미한다.
2. 예루살렘의 회복과 새 언약
4절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성읍의 가옥들과 유다 왕들의 궁전에 대하여 이같이 말씀하시니라. 그것들이 갈대아인의 참호와 칼을 막으려고 헐렸으나,"
5절
"그들이 싸우려 하여 갈대아인과 대적하나 내가 나의 노여움과 분으로 그들을 죽이겠고, 또 그들의 모든 악으로 말미암아 이 성을 떠나게 하였으므로,"
👉 해설:
- 예루살렘은 바벨론(갈대아인)과의 전쟁으로 파괴될 운명이다.
- 이는 유다의 죄악에 대한 하나님의 심판이며, 하나님께서 스스로 이 성을 떠나셨다는 의미이다.
6절
"그러나 보라, 내가 이 성을 치료하며 고쳐 낫게 하고 평강과 진리를 풍성하게 할 것이며,"
👉 해설:
- 하나님은 심판 후에 회복을 약속하신다. ‘치료하며 고쳐 낫게 하고’는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을 의미한다.
- ‘평강과 진리’는 하나님의 신실하심과 언약적 축복을 나타낸다.
7절
"내가 유다의 포로와 이스라엘의 포로를 돌아오게 하고 그들을 처음과 같이 세울 것이며,"
👉 해설:
- 바벨론에 의해 포로로 끌려간 백성들이 다시 돌아와 유다와 이스라엘이 회복될 것이다.
- ‘처음과 같이 세울 것’은 다윗 왕조의 영광을 회복시키겠다는 뜻이다.
8절
"내가 그들을 모든 죄악에서 정결하게 하며, 그들이 내게 범한 모든 죄를 사하리라."
👉 해설:
- 하나님의 회복은 단순한 귀환이 아니라, 죄를 사하시고 정결하게 하시는 영적인 회복까지 포함된다.
9절
"이 성이 나의 기쁜 이름이 될 것이며, 모든 민족이 나의 찬양과 영광이 될 것이라. 그들이 내가 이 성에 베푼 모든 복을 듣고 놀라며 두려워하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해설:
- 예루살렘은 심판을 받았지만, 장차 하나님의 영광이 머무는 도성이 될 것이다.
- ‘모든 민족이 나의 찬양과 영광이 될 것이라’는 표현은 하나님께서 이방 나라들 앞에서 영광을 받으실 것을 의미한다.
10절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말하기를 ‘황폐하여 사람도 없고 짐승도 없다’ 하던 이곳, 곧 유다 성읍들과 예루살렘 거리에서 다시 기쁨과 즐거움의 소리, 신랑의 소리와 신부의 소리가 들릴 것이며,"
👉 해설:
- 멸망했던 예루살렘이 다시 회복되어, 기쁨과 평안이 가득한 곳이 될 것을 예언하고 있다.
- ‘신랑과 신부의 소리’는 공동체의 회복과 번영을 의미한다.
11절
"만군의 여호와께 감사하라.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의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라 하며, 여호와의 성전에 감사제를 드리는 자들의 소리가 들릴 것이니라. 이는 내가 이 땅의 포로된 자를 돌아오게 하여 처음과 같이 될 것임이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해설:
- 회복된 예루살렘에서 다시 하나님을 찬양하는 예배가 회복될 것이다.
- ‘처음과 같이 될 것임이라’는 표현은 가나안 정착 당시의 축복을 다시 회복시킬 것이라는 약속이다.
3. 황폐한 땅의 회복
12절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사람이 없고 짐승이 없이 황폐한 이곳과 그 모든 성읍들에 다시 목자가 양 떼를 눕게 할 곳이 있을 것이라."
👉 해설:
- 완전히 황폐해진 유다 땅이 다시 번성하여 평화롭게 가축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이 될 것이다.
- ‘목자가 양 떼를 눕게 할 곳’은 평화와 안정을 의미한다.
13절
"산지 성읍들과 저지대 성읍들과 네겝 땅과 베냐민 땅과 예루살렘 사방과 유다 성읍들에서 다시 양 떼가 세는 자의 손 아래로 지나가리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 해설:
- 유다 전역에서 목축업이 다시 회복되며, 경제적으로 번영할 것을 상징한다.
- ‘세는 자의 손 아래로 지나가리라’는 표현은 가축을 계수할 정도로 풍성해진다는 의미이다.
4. 다윗 왕조의 회복과 메시아 예언
14절
"여호와의 말씀이니라. 보라, 내가 이스라엘 집과 유다 집에 대하여 말한 선한 일을 이루리라."
15절
"그날과 그때에 내가 다윗에게서 한 공의로운 가지가 나게 하리니, 그가 이 땅에 정의와 공의를 실행할 것이라."
👉 해설:
- ‘공의로운 가지’(히브리어: צֶמַח צַדִּיק, *tzemach tzaddik)는 메시아를 의미하며, 다윗 왕조의 계승을 통해 오실 예수 그리스도를 예언한다.*
- 메시아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를 세우실 것이다.
16절
"그날에 유다가 구원을 받겠고 예루살렘이 안전히 살 것이며, 이것이 그 성읍의 이름이라, ‘여호와 우리의 의’라 할 것이며."
👉 해설:
- ‘여호와 우리의 의’(יהוה צִדְקֵנוּ, *Yahweh Tzidkenu)는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의롭게 하실 것을 의미한다.*
-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성취될 하나님의 구원을 예언하는 말씀이다.
5. 다윗 왕조와 레위 계열의 영원한 언약
17절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다윗에게 왕위에 앉을 사람이 영원히 끊어지지 아니할 것이며,"
18절
"내 앞에서 번제를 드리며 소제를 사르며 매일 제사를 드릴 레위 사람 제사장들도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 해설:
- 하나님은 다윗의 왕조가 영원할 것을 약속하셨다. 이는 메시아 왕국을 예언하는 말씀이다.
- 레위 제사장들도 계속해서 하나님을 섬기게 될 것이라는 영원한 언약을 의미한다.
19절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20절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너희가 낮과 밤에 대한 나의 언약을 깨뜨려 낮과 밤이 그때를 따라 오지 못하게 할 수 있을진대,"
21절
"내 종 다윗과 맺은 나의 언약도 깨뜨려 그에게 그의 왕위에 앉을 아들이 없게 할 수 있으며, 나를 섬기는 레위 사람 제사장과 맺은 나의 언약도 깨뜨릴 수 있느니라."
👉 해설:
- 하나님의 언약은 낮과 밤의 법칙처럼 영원히 변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주고 있다.
- 이 언약은 결국 메시아 왕국을 통해 완성될 것이다.
22절
"하늘의 무수한 군대와 바다의 셀 수 없는 모래와 같이, 내가 내 종 다윗의 자손과 나를 섬기는 레위 사람을 번성하게 하리라."
👉 해설:
-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처럼 다윗의 왕조와 레위 제사장의 계보를 끊이지 않게 하실 것을 선언하신다.
- ‘하늘의 무수한 군대’와 ‘바다의 모래’는 수를 헤아릴 수 없는 번성을 의미한다.
- 이는 결국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원한 왕국과, 그를 따르는 하나님의 백성들을 상징한다.
23절
"여호와의 말씀이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이르시되,"
24절
"이 백성이 말하기를 ‘여호와께서 택하신 두 족속을 버리셨다’ 하지 아니하느냐? 그들이 내 백성을 멸시하여 자기들 앞에서 다시 나라가 되지 못하게 여기도다."
👉 해설:
- 유다 백성들은 바벨론 포로로 인해 자신들이 하나님께 버림받았다고 생각했다.
- ‘두 족속’은 유다와 이스라엘을 가리키며, 이들이 하나님의 선택에서 제외되었다고 믿었다.
25절
"여호와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만일 내가 낮과 밤에 대한 나의 언약과 하늘과 땅의 법도를 정하지 아니하였다면,"
26절
"야곱과 내 종 다윗의 자손을 버리고, 그의 자손 중에서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자손을 다스릴 자를 택하지 아니하였으리라. 그러나 내가 그들의 포로 된 자를 돌아오게 하고 그들을 불쌍히 여기리라."
👉 해설:
- 하나님께서는 낮과 밤의 법칙처럼 다윗의 언약을 깨뜨리지 않으실 것을 강조하신다.
- ‘야곱과 내 종 다윗의 자손을 버리지 아니하셨다’는 표현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강조하는 말씀이다.
- 포로로 끌려갔던 이스라엘 백성들을 회복시키시고, 자비를 베푸시겠다는 하나님의 약속이 담겨 있다.
📖 오늘의 묵상
🙏 하나님의 언약은 변함이 없다. 우리의 현실이 아무리 힘들어도,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기억하시고 회복의 때를 예비하신다. 우리는 그의 신실하심을 믿고 끝까지 신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