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스겔 27장, 영광의 무역 제국 두로, 그 찬란함과 함께 가라앉다

by 말씀샘지기 2025. 7. 19.
반응형

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두로의 영광에 대한 애가

1절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말씀하셨다."
👉 해설:
이 말씀은 두로에 대한 심판의 메시지를 ‘애가(哀歌, lament)’의 형식으로 전개한다.

2절
"사람아, 두로를 위하여 애가를 지어라."
👉 해설:
두로는 멸망을 맞이할 도시지만, 그 찬란했던 영광을 먼저 노래하며 대비를 극대화한다.

3절
"바닷가에 있는 두로야, 너는 많은 섬 백성들과 거래하며 말하기를 ‘나는 완전한 아름다움이다’ 하였구나."
👉 해설:
‘완전한 아름다움’(תִּכְלַת יֹפִי, tikhlat yofi)은 두로의 자만과 자부심을 상징한다.

4절
"네 영토가 바다 중심에 있고, 너를 지은 자들이 너의 아름다움을 완전하게 하였다."
👉 해설:
두로는 해상 무역의 중심지였으며, 이로 인해 외적인 영광을 누렸다.

5절
"그들이 스닐의 잣나무로 네 배를 만들었고, 레바논의 백향목으로 돛대를 만들었다."
👉 해설:
스닐(Senir)은 헤르몬 산의 다른 이름으로 고급 자재의 상징이다. 두로의 부요함이 구체적으로 묘사된다.

6절
"바산의 상수리나무로 노를 만들고, 깃딤섬의 백향목에 상아를 박아 갑판을 꾸몄다."
👉 해설:
바산은 풍요로운 지역, 깃딤은 키프로스 섬으로 최고의 수입 자재들이 언급된다.

7절
"에굽 고운 베로 돛을 만들어 너의 깃발로 삼았고, 엘리사 섬의 청색 자색 천으로 차양을 만들었다."
👉 해설:
고급 직물과 염색품은 두로의 항해 선박들이 호화로웠음을 보여준다.

8절
"시돈과 아르왓의 주민들이 너의 사공이 되었고, 두루 안에서 있는 지혜로운 자들이 너의 조타수가 되었다."
👉 해설:
두로는 주변 강대도시의 숙련자들을 사용하며 최고의 항해 기술을 보유했다.

9절
"그발의 장로들과 지혜자들이 너의 균열을 메우는 자가 되었으며, 모든 바다의 배와 사공들이 너의 무역에 참여하였다."
👉 해설:
‘균열을 메운다’는 표현은 기술력과 유지 관리에 대한 상징이다. 두로의 무역망은 전 지중해에 이르렀다.

10절
"바사와 룻과 붓은 네 군대 안에 있었으며, 그들이 네 군사를 돕는 용사였고, 네 방패와 투구를 너 안에 걸어 네 영광을 나타냈다."
👉 해설:
두로는 각국에서 용병을 고용할 만큼 부유했고, 그들의 군사 장비는 도시의 명예를 상징했다.

11절
"아르왓 사람들이 네 성벽 사방에 있었고, 용사들이 망대에 있었으며, 그들이 방패를 사방에 걸어 너를 온전하게 만들었다."
👉 해설:
도시의 방어체계는 매우 견고했으며, 강력한 방어력을 자랑하는 도시였음을 강조한다.


2. 두로의 국제적 무역망

12절
"다르시스는 각종 부(富), 은과 철과 주석과 납을 네 시장에 가져왔다."
👉 해설:
다르시스(Tarshish)는 스페인으로 추정되는 먼 서쪽 지역으로, 광물 자원이 풍부한 무역 파트너였다.

13절
"야완과 두발과 메섹은 사람과 놋그릇을 네 시장에 팔았다."
👉 해설:
두로는 인신매매까지도 무역의 일환으로 삼았던 국제 도시였다.

14절
"도갈마 족속은 말과 군마와 노새를 너에게 바쳤다."
👉 해설:
군사력 유지에 필요한 자원을 교환하며 안보와 상업을 결합하였다.

15절
"드단 사람은 너와 거래하였으며, 여러 해안 섬들이 너와 장사하였고, 상아와 흑단을 가져왔다."
👉 해설:
열대산 희귀 자원이 두로에까지 이르렀음을 보이며, 무역 범위가 아프리카까지 미쳤음을 암시한다.

16절
"아람은 네 상품이 많음으로 네 시장에서 터키옥과 자색 옷감과 수를 놓은 옷과 고운 삼베와 산호와 홍보석을 주고 네 물건을 바꾸었다."
👉 해설:
고급 직물과 보석류는 두로의 화려함과 사치스러운 생활을 보여준다.

17절
"유다와 이스라엘 땅도 너와 장사하여 밋밋과 꿀과 기름과 유향을 바쳤다."
👉 해설:
두로는 남유다와 북이스라엘과도 긴밀한 무역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18절
"다메섹은 네 상품이 많고 모든 재물이 풍부함으로 네 물건과 포도주와 흰 양털로 장사하였다."
👉 해설:
다메섹(다마스쿠스)과의 무역은 농산물과 생활용품이 중심이었다.

19절
"워단과 야완은 철과 계피와 향품을 주며 네 상품과 바꾸었다."
👉 해설:
방향제와 귀한 약재류는 고급 소비재로서 유통되었다.

20절
"드단은 네 시장에서 말 깔개로 장사하였다."
👉 해설:
이러한 세부적인 물품 목록은 두로의 경제 규모와 정교한 교역 시스템을 보여준다.

21절
"아라비아와 게달의 모든 방백들은 어린 양과 숫양과 염소로 너와 장사하였고, 이것이 너의 시장 물품이었다."
👉 해설:
목축업 중심의 민족들과도 교역했음을 보여주며, 두로의 유연한 무역 전략을 반영한다.

22절
"스바와 라아마 상인들은 너와 장사하였으며, 그들은 각종 향품과 보석과 금으로 너의 시장에서 거래하였다."
👉 해설:
향신료와 금은 고급품으로, 왕실이나 제사에 사용되던 고가의 물품이다.

23절
"하란과 그네와 에덴과 스바와 앗수르와 길맛의 상인들도 너와 장사하였다."
👉 해설:
당시 고대 근동의 거의 모든 중심지와 무역 관계를 맺은 국제도시였다.

24절
"이들은 아름다운 옷과 청색 옷, 수를 놓은 것과 색실로 만든 다채로운 깔개 등으로 너의 시장에 들어왔다."
👉 해설:
제품의 정교함과 다양성은 당시 두로의 시장이 얼마나 사치스럽고 화려했는지를 나타낸다.

25절
"다르시스의 배들은 네 상품을 실었으며, 네가 매우 풍성하고 영화롭게 되었도다."
👉 해설:
두로의 전성기는 무역과 배를 통한 해상 중심 도시로서의 성공에 기초하였다.


3. 두로의 몰락에 대한 애가

26절
"너의 사공이 너를 큰 물 가운데로 끌어갔으나, 동풍이 바다 가운데서 너를 부수었다."
👉 해설:
자기 과신으로 인해 위험 속으로 들어간 두로는 하나님의 바람(심판)으로 무너진다.

27절
"네 재물과 상품과 무역품과 선원과 조타수와 수리자와 무역상과 군인과 너희 가운데 있는 모든 자가 바다 한가운데서 무너질 것이다."
👉 해설:
두로는 구성원 모두가 함께 몰락하며, 영광의 도시 전체가 붕괴된다.

28절
"네 조타수의 부르짖음에 물결이 진동할 것이다."
👉 해설:
절망의 외침이 세상을 울리고, 그 충격은 바다까지도 진동시킨다.

29절
"노를 젓는 모든 자, 사공과 바다의 선장들이 다 배에서 내려 육지에 서서"
👉 해설:
모든 선박 종사자들이 멸망을 목격하며 경악한다.

30절
"너를 위해 소리를 높여 통곡하고, 티끌을 머리에 뿌리고 재 가운데 뒹굴며"
👉 해설:
이방인들도 두로의 몰락을 보고 슬퍼할 만큼, 두로의 존재감은 대단했다.

31절
"너를 위하여 머리털을 밀고 굵은 베로 허리를 동이고 마음껏 통곡하리라."
👉 해설:
애도의 모습은 죽음을 향한 애가의 전형적인 상징이다.

32절
"통곡할 때 애가를 지어 두로를 위하여 말하되 ‘누가 바다 가운데서 두로같이 조용히 앉아 있었는가!’"
👉 해설:
한때 조용히 영광을 누리던 두로는 이제 기억 속의 전설로 남는다.

33절
"네 상품이 바다에 나갈 때 여러 백성을 풍성하게 하였으며, 네 부와 무역이 많은 왕들을 부유하게 하였도다."
👉 해설:
두로는 세계 경제를 풍요롭게 만들었으나, 그 끝은 영광이 아닌 파멸이다.

34절
"지금은 네가 깊은 바다에 무너져 가라앉고, 너의 무역 상품과 너의 온 무리가 함께 빠졌다."
👉 해설:
모든 것이 한순간에 바다 속으로 사라져버렸다.

35절
"섬의 주민들은 너를 보고 놀라며, 그들의 왕들은 크게 두려워하며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다."
👉 해설:
지켜보는 자들은 두로의 몰락이 곧 자기들의 운명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인다.

36절
"열국의 상인들이 너를 조롱하며 말하되 ‘네가 멸망하니, 네가 무서움이 되었도다’ 하리라."
👉 해설:
과거의 영화는 조롱거리가 되고, 두로는 심판의 본보기로 남는다.


📖 오늘의 묵상

🙏 사람의 영광은 한순간이고,
하나님 없는 번영은 영원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