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스겔 18장, 죄는 전가되지 않는다-회개하는 자는 반드시 살리라

by 말씀샘지기 2025. 6. 16.
반응형

히브리 원어 성경을 재해석한 말씀


1. 개인의 책임과 회개의 길

1절
"여호와의 말씀이 내게 임하여 말씀하셨다."
👉 해설:
에스겔서의 반복되는 도입부로, 하나님의 권위 있는 직접 계시임을 나타낸다.

2절
"너희가 이스라엘 땅에서 말하는 속담, 곧 ‘아버지가 신 포도를 먹었더니 아들들의 이가 시다’는 말이 어찌하여 통용되느냐?"
👉 해설:
공동체적 운명을 강조하는 옛 속담을 하나님은 이제 폐지하려 하신다. 더 이상 조상 탓은 통하지 않는다.

3절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니, 너희가 이 속담을 다시는 말하지 못하게 하겠다."
👉 해설:
하나님은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신다. 이는 책임의 전가를 중단하라는 경고다.

4절
"모든 영혼이 다 내게 속하였나니, 아버지의 영혼이든 아들의 영혼이든 내게 속하였다. 죄를 짓는 그 영혼은 죽을 것이다."
👉 해설:
‘죄를 짓는 자가 죽는다’는 하나님의 공의 원칙을 선언한다. 심판은 개별적이다.

5절
"사람이 의로워서 정의와 공의를 행하며,"
👉 해설:
의로운 자의 예시가 이어진다. 하나님은 구체적으로 어떤 삶이 의로운지를 보여주신다.

6절
"산에서 제사를 드리지 않고, 이스라엘 족속의 우상에게 눈을 들지 않으며, 이웃의 아내를 더럽히지 않고, 월경 중인 여인과도 가까이하지 않으며,"
👉 해설:
우상숭배, 음행, 부정한 관계를 피하는 것이 기본적인 의로움의 기준이다.

7절
"사람을 학대하지 않고, 빚진 자의 저당물을 돌려주며, 강탈하지 않고, 줄인 자에게 먹을 것을 주며, 벗은 자에게 옷을 입히며,"
👉 해설:
사회 정의와 자비, 실천적 사랑이 참된 의로움이다.

8절
"이자를 받지 않고, 고리로 이익을 취하지 않으며, 손을 악에서 떼고, 사람 사이에 진실한 판단을 하며,"
👉 해설:
경제적 정의와 공정함도 하나님 앞에서 의로운 삶의 일부이다.

9절
"내 규례대로 행하며, 내 법도를 지켜 진실하게 행하면 그는 의로운 자니 반드시 살리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다."
👉 해설:
하나님의 말씀에 따라 사는 것이 생명의 길이다. ‘반드시 살리라’는 구원의 약속이다.


2. 아들의 의, 아버지의 죄는 별개이다

10절
"그가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이 강도나 피 흘리는 자나 그 형제 중 하나를 그대로 따르며,"
👉 해설:
의로운 자에게서 태어난 아들이라도 죄를 지으면 그 아버지의 의로움이 전가되지 않는다는 원칙.

11절
"그는 선을 행하지 않고, 산 위에서 먹으며, 이웃의 아내를 더럽히며,"
👉 해설:
우상숭배와 간음에 빠진 자는 의롭지 않다.

12절
"가난하고 궁핍한 자를 학대하며, 강탈하고, 저당물을 돌려주지 않으며, 우상에게 눈을 들고, 가증한 일을 행하며,"
👉 해설:
사회적 악행과 우상숭배가 반복적으로 언급되며, 심판의 기준이 됨을 보여준다.

13절
"이자를 받으며, 고리로 이익을 취하는 자는 살 수 없고, 이런 가증한 일을 행했으므로 반드시 죽을 것이다. 그의 피가 자기에게 돌아가리라."
👉 해설:
죄의 대가는 죄인 자신에게 돌려진다. 하나님의 공의는 정직하다.

14절
"그가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은 아버지의 모든 죄를 보고 두려워하며 그와 같은 일을 하지 않고,"
👉 해설:
악한 아버지를 두었을지라도, 자식이 회개하면 생명의 길이 열려 있다.

15절
"그가 산 위에서 먹지도 아니하며, 이스라엘 족속의 우상들을 향하여 눈을 들지도 아니하고, 이웃의 아내를 더럽히지도 아니하며,"
👉 해설:
우상숭배와 음행을 거절한 태도는 내면의 순결함을 의미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삶으로 지킨 결과다.

16절
"사람을 학대하지 아니하며, 담보물을 잡지도 아니하고, 도적질하지 아니하며, 줄인 자에게 자기 음식을 주며, 벗은 자에게 옷을 입히며,"
👉 해설:
사회적 약자에게 자비를 베풀고, 강탈 대신 나눔을 실천하는 삶은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공의의 열매다.

17절
"손을 죄에서 떼며, 이자를 받지도 아니하고, 고리로 이익을 취하지 아니하며, 내 규례대로 행하며 내 법도를 따랐다면, 그는 그의 아버지의 죄악으로 죽지 아니하고 반드시 살 것이다."
👉 해설:
하나님은 혈통이 아닌 삶의 행위를 보신다. 아버지가 죄인이더라도, 아들이 의롭게 살면 생명을 얻게 된다.

18절
"그 아버지는 포악하고, 강탈을 일삼으며, 형제에게 선을 행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죽었느니라. 그 죄악으로 죽은 것이다."
👉 해설:
하나님의 판단은 철저히 각 개인에 따라 이루어진다.


3. 이스라엘 백성의 항변과 하나님의 응답

19절
"너희는 왜 묻기를 ‘아들은 어찌하여 아버지의 죄를 담당하지 않느냐?’ 하느냐? 아들이 정의와 공의를 행하고 내 모든 규례를 지켰으면 반드시 살 것이다."
👉 해설:
죄의 대물림이 아니라, 회개와 순종으로 생명을 얻는다는 개인 구원의 원칙.

20절
"죄를 짓는 그 영혼은 죽을 것이다. 아들은 아버지의 죄를 담당하지 않고, 아버지는 아들의 죄를 담당하지 않는다. 의인은 자기의 의로, 악인은 자기의 악으로 죽을 것이다."
👉 해설:
구원의 원칙을 다시 한 번 명료하게 선언하신다.


4. 회개하는 자는 반드시 살 것이다

21절
"악인이 그 모든 죄에서 돌이켜 내 모든 규례를 지키고 정의와 공의를 행하면 반드시 살고 죽지 않을 것이다."
👉 해설:
하나님은 회개의 가능성을 닫지 않으신다. 악인이라도 돌이키면 살리라.

22절
"그 범한 죄가 기억되지 아니하고, 그의 행한 의로 인해 살 것이다."
👉 해설:
죄를 기억하지 않으시는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

23절
"내가 어찌 악인이 죽는 것을 기뻐하겠느냐? 주 여호와의 말이다. 그가 돌이켜 사는 것을 내가 어찌 기뻐하지 않겠느냐?"
👉 해설:
하나님의 마음은 심판이 아니라 구원이다.

24절
"만일 의인이 그의 의에서 돌이켜 죄악을 행하고, 악인이 행한 가증한 일처럼 행하면 살겠느냐? 그가 행한 의로운 행위는 기억되지 않고, 범한 죄로 죽을 것이다."
👉 해설:
회개하지 않은 자는 과거의 의도 소용없다. 끝까지 믿음을 지켜야 한다.

25절
"너희가 말하기를 ‘주의 길이 공평하지 않다’ 하겠느냐? 이스라엘 족속아, 내 길이 공평하지 않으냐? 너희 길이 오히려 불공평하다."
👉 해설:
하나님의 공의는 완전하다. 판단의 기준은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이 정하신다.

26-28절
"의인이 죄로 죽고, 악인이 회개하여 살며, 그 모든 행위로 인해 산다."
👉 해설:
개인의 선택과 변화가 생사여탈의 기준임을 강조한다.

29절
"이스라엘 족속은 여전히 ‘주의 길이 공평하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나 내 길이 공평하지 않으냐?"
👉 해설:
하나님의 판단은 사람의 기준보다 깊고 바르다.

30절
"그러므로 너희 이스라엘 족속아, 내가 너희 각 사람을 그의 행위대로 심판하리라. 너희는 돌이켜 회개하라. 그리하면 죄악이 너희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이다."
👉 해설:
심판은 각 개인에게 주어진다. 회개는 죽음을 피하는 유일한 길이다.

31절
"너희는 너희가 범한 모든 죄를 내던지고, 새 마음과 새 영을 얻으라. 어찌하여 너희가 죽고자 하느냐?"
👉 해설:
하나님은 새 출발을 원하신다. 심판은 끝이 아니라 경고이며, 회복이 목적이다.

32절
"주 여호와의 말이다. 나는 누구든지 죽는 것을 기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돌이켜 살아라!"
👉 해설:
하나님의 마음은 단 하나 — “돌이켜라. 살아라.”


📖 오늘의 묵상

🙏 하나님은 나의 과거보다 지금의 방향을 보십니다. 진정으로 돌이키는 자를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기시는 그분의 공의와 은혜를 오늘 다시 붙잡습니다.


반응형